기념물/경기도 32

경기도 기념물 제47호_한재당

경기도 기념물 제47호 _ 한재당 (寒齋堂) 수 량 : 1동 지정일 : 1975.09.05 소재지 : 경기 김포시 하성면 가금리 산76-1번지 ‘한재당’은 조선 전기 문신인 이목(李穆, 1471년-1498년)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이목은 성종에게 불교를 받들도록 권한 윤필상(尹弼商)을 간사하고 나쁜 사람으로 지목하며 극형에 처할 것을 건의했으나, 오히려 임금을 화나게 만들어 공주 지역으로 쫓겨났다. 이때 이목은 청렴한 선비가 되기 위해 술 대신 차를 즐기며 차를 칭송하는 책[다부(茶賦)]을 지었다고 한다. 이에 매년 음력 7월 26일에 차를 올리는 헌다례(獻茶禮) 의식이 거행되고 있다. 한재당은 현재 ‘정간사(貞簡祠)’ 현판이 붙은 사당과 내삼문, 외삼문, 홍살문이 일렬로 구성되어있다. 1848년에 ..

기념물/경기도 2022.03.02

경기도 기념물 제50호_유형장군 묘

경기도 기념물 제50호 _ 유형장군 묘 (柳珩將軍 墓) 수 량 : 1기 지정일 : 1978.10.10 소재지 : 경기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 698번지 조선 중기의 무신인 석담(石潭) 유형(柳珩, 1566∼1615) 장군의 묘이다. 노량해전에서 전사한 이순신을 대신해 전투를 지휘하여 부산진첨절제사에 발탁되었다. 그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선조 35년(1602)에 충청·전라·경상 3도의 수군을 통제하는 관직에 올랐다. 묘역은 원형 단분(單墳 ; 하나의 봉분)의 형태이다. 봉분 정면 오른쪽에는 새로 세운 묘표가 있고, 봉분 앞으로 혼유석·상석·향로석이 차례대로 있는데 모두 현대에 세운 것이다. 하단에는 문석인 한쌍이 있는데, 양관조복형(梁冠朝服形 ; 머리에는 양관을 쓰고, 조복을 입은 문신의 형태)이고 17세기..

기념물/경기도 2022.02.10

경기도 기념물 제89호_한음 이덕형선생 묘 및 신도비

경기도 기념물 제89호 _ 한음 이덕형선생 묘 및 신도비 (漢陰 李德馨先生 墓 및 神道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5.09.20 소재지 : 경기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 산82번지 한음(漢陰) 이덕형(李德馨, 1561∼1613) 선생은 임진왜란 때 정주까지 왕을 호종했고, 청원사(請援使)로 명나라에 파견되어 파병을 성사시켰다. 광해군 때 이이첨의 사주를 받은 삼사(三司)에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을 들고 나오자, 이항복과 함께 이를 적극 반대했다. 이에 삼사가 모두 이덕형을 모함하며 처형을 주장했으나, 광해군이 관직을 삭탈해 이를 수습하였다. 이덕형선생 묘는 부인 한산이씨(韓山李氏)와 합장(合葬) 단분(單墳)이다. 봉분 앞에 원수방부(圓首方趺; 둥근 머릿돌과 사각 받침돌의 비석 형태)의..

기념물/경기도 2022.01.05

경기도 기념물 제96호_이준경선생 묘

경기도 기념물 제96호 _ 이준경선생 묘 (李浚慶先生 墓) 수 량 : 1기 지정일 : 1987.02.12 소재지 : 경기 양평군 양서면 목왕로 308-41 (부용리) 동고(東皐) 이준경(李浚慶, 1499∼1572) 선생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죄를 받은 선비들의 무죄를 주장하다가 권신(權臣) 김안로(金安老) 일파의 모함을 받아 파직당하였다. 1567년에 명종이 죽자 선조를 왕으로 세우고 국정을 보좌하였다. 이 때 기묘사화로 죽은 조광조(趙光祖)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을사사화(乙巳士禍, 1545)로 억울하게 유배생활을 한 노수신(盧守愼) 등 인재를 석방하여 다시 등용하는 공적을 세웠다. 선생은 부인 풍산 김씨(豐山金氏)와 합장되어 있으며, 봉분은 원형으로 하단에 호석(護石)이 둘러..

기념물/경기도 2022.01.05

조선초기 개국공신 하정 유관, 경기도 기념물 제62호_유관선생 묘

경기도 기념물 제62호 _ 유관선생 묘 (柳寬先生 墓) 수 량 : 1기 지정일 : 1981.07.16 소재지 : 경기 양평군 강하면 동오리 산157번지 조선 초기 개국공신이자 청백리의 한 사람인 하정(夏亭) 유관(柳寬, 1346∼1433) 선생의 묘이다. 묘역은 부인 광주 안씨(廣州安氏)와 함께 매장된 쌍분(雙墳; 두개의 봉분)의 형태이다. 봉분은 아래 부분에 사각형의 둘레석을 조성하였는데 고려말~조선 초기의 특징이다. 봉분의 옆에는 원수방부형(圓首方趺形; 둥근 머릿돌과 사각 받침돌의 비석 형태)의 옛 묘표(墓表; 무덤 주인공의 이름 등을 새긴 비석)가 있다. 처음 묘역을 조성할 당시의 옛 석물로는 석인 1쌍이 있다. 장대형의 지물을 쥐고 있는 독특한 시자석인(侍者石人)으로, 머리에는 사방관(四方冠)을 ..

기념물/경기도 2022.01.04

경기도 기념물 제145호_신흠묘역 및 신도비

경기도 기념물 제145호 _ 신흠묘역 및 신도비 (申欽墓域 및 神道碑) 수 량 : 1기 지정일 : 1994.04.20 소재지 : 경기 광주시 퇴촌면 영동리 산12-1 조선 선조~인조 연간의 문신이자 한문학의 대가로 칭송되었던 신흠(申欽, 1566∼1628) 선생의 묘이다. 신흠 선생은 장중하고 간결한 성품과 뛰어난 문장으로 선조의 신임을 받았고, 특히 외교문서의 제작과 각종 의례문서의 제작에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다. 묘역은 부인 전의 이씨(全義李氏)와 합장한 단분(單墳 ; 하나의 봉분)의 형태이다. 묘제(墓制)는 비교적 원형이 유지되고 있으며, 석물은 대부분 옛 석물이다. 봉분 앞에는 묘표·혼유석·상석·향로석을 차례로 조성하였다. 묘표(墓表 ; 무덤 주인공의 이름 등을 새긴 비석)는 1628년(인조 6..

기념물/경기도 2022.01.03

집현전 학자이신 최항선생 묘와 사당, 경기도 기념물 제33호_최항선생 묘

경기도 기념물 제33호 _ 최항선생 묘 (崔恒先生 墓) 수 량 : 1기 지정일 : 1976.08.27 소재지 : 경기 광주시 퇴촌면 도마리 산11-1번지 조선 초기 문신인 최항(崔恒, 1409~1474)은 본관이 삭녕(朔寧)이다. 집현전 학사가 되어 신숙주·박팽년·성삼문 등과 같이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였다. 1453년 계유정난 때 공을 세워 1등 공신이 되었고 이후 영의정이 되었다. 문장력이 뛰어나 외교문서를 많이 작성하였고 서적들을 알기 쉽게 풀이하였다. 최항 선생 묘는 단독으로 안장(安葬)되어 있으며, 부인 달성 서씨(達城徐氏)는 인근에 묘소가 있다. 최항선생 묘소 석물 중 묘역 입구의 묘비(墓碑)와 문인석, 묘표만 15세기의 작품이며 다른 석물들은 최근에 제작한 것이다. 묘비는 하엽수방부(荷葉首方..

기념물/경기도 2022.01.03

경기도 기념물 제207호_풍고 김조순묘역

경기도 기념물 제207호 _ 풍고 김조순 묘역 (楓皐 金祖淳 墓域) 면 적 : 9,207㎡ 지정일 : 2005.10.17 소재지 :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가좌리 산56-27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 김조순(金祖淳, 1765~1832)과 청양부부인(靑陽府夫人) 심씨(沈氏, 1766~1828)의 묘역이다. 김조순은 본관이 안동(安東)이다. 정조(正祖)가 그의 딸을 간택해 훗날 순조(純祖) 정비(正妃)인 순원왕후(純元王后)가 되게 한다. 순원왕후가 중전(中殿)에 책봉되자 김조순은 영안부원군에 봉해졌다. ‘김조순 묘’는 합장된 봉분 앞에 혼유석(魂遊石), 상석(床石), 향로석(香爐石), 장명등(長明燈)이 차례로 놓여 있으며 묘역 좌우에 망주석도 설치되어 있다. 묘표(墓表)는 혼유석 동쪽편에 건립되어 있으며, 개석..

기념물/경기도 2021.12.21

경기도기념물 제31호_팔곡리 향나무

경기도 기념물 제31호 _ 팔곡리 향나무 (八谷里 향나무) 수 량 : 1주 지정일 : 1976.08.27 소재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팔곡일동 59-3 이 나무는 키 9m, 둘레 3m에 이르는 큰 향나무로 땅 위 0.5m 높이에서 3개의 굵은 가지가 동·서·남쪽으로 갈라졌다. 나무는 전체적으로 부채 모양을 하고 있으며 나이는 600여 년으로 추정한다. 향나무는 측백나무과의 늘푸른 바늘잎 큰키나무로 가지가 위아래로 뻗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4월에 꽃이 피고 10월에 열매 맺는다. 향나무는 평안북도와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에 고루 분포하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중국에도 분포한다. 향나무는 음지에서는 잘 자라지 못하나 비옥한 곳에서는 성장이 빠르다. 또한 각종 공해에 견디는 힘과 싹트는 힘이 강하고 ..

기념물/경기도 2021.12.05

경기도 기념물 제43호_노산사지

경기도 기념물 제43호 _ 노산사지 (蘆山祠址) 수량/면적 ; 일원 지정일 : 1977.10.13 소재지 : 경기 양평군 서종면 노문리 산69-7번지 조선 후기 유학자인 이항로(李恒老, 1792년-1868년)가 세운 사당[노산사(蘆山祠)]이 있는 터를 말한다. 이항로는 생전에 중국 송나라 시대의 유학자 주희(朱熹)와 조선 후기 유학자 송시열(宋時烈)의 학문을 잇고자, 그가 태어난 집터에 두 사람의 위패와 초상화를 모신 사당[노산사(盧山祠)]을 지었다. 이후 이항로가 죽자 후손들이 그의 학문과 뜻을 길이 전하고자 사당 중앙에는 주희를, 동쪽으로는 송시열을, 서쪽에는 이항로를 각각 모셨다. 현재의 노산사는 한국 전쟁으로 불타 없어졌다. 이후 1954년에 지역 유림(儒林)들에 의해 다시 세워졌고, 1985년에..

기념물/경기도 2021.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