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사찰 265

남해 해관암

남해 해관암에 있는 문화재 1.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77호_남해 해관암 아미타 삼존도 및 복장유물 일괄 해관암 대웅전 해관암(海觀庵) 한국불교 태고종 경남교구에 속해 있는 해관암. 부처님 법 향기 가득하고 용(龍)이 알을 품고 있어 선인이 나온다는 풍수상의 경남 남해군 삼동면 동천리 산 194-1번지 산하 삼신산 임금골 해관암은 1943년 1월 28일 독립 운동가이신 하전(河筌) 이상태(李相兌)선생께서 독립운동 장소로 해관암을 창건하셨고, 1948년 4월경 설석우 스님을 모시고 법당 요사체를 작은 규모로 중창하여 남해지역 불교불사에 큰 서원을 세웠다. 또한 인재양성 교육 육성사업 경남해양과학고(남해수고)에도 큰 기여을 하였다. 그 후 47년이 지나 1989년 7월 현 주지 지성스님의 원력으로 현 도량..

문화재/사찰 2021.05.14

남해 운대암

남해 운대암에 있는 문화재 1.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16호_남해 운대암 제석신중탱 2.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17호_남해 운대암 지장시왕탱 3.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18호_남해 운대암 아미타후불탱 운대암 무량수전(雲臺庵 無量壽殿) 대방산 운대암(臺方山 雲臺庵) 고려 초 망경암이라 불리며 대방산 중턱에 창건된 제일 기도도량으로 조선시대 운대암으로 개칭. 지 정 : 전통사찰 제79호 지정일 : 1988.09.10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창선로153번길 240 창선면 산신마을 질러 산길을 오르면 운대암 범종루가 우뚝 서 있다. 범종루에 오르면 층층 돌계단 위로 푸른빛 찬연한 청기와를 얹은 작지만 위용스런 무량수전이 서 있다. 고려 초부터는 망경암이라 불리며 대방산 중턱에 창건되어 명당의 제일 기도도량..

문화재/사찰 2021.05.14

남해 망운사

남해 망운사에 있는 문화재 1.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33호 _ 남해 망운암 석조보살좌상 2.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34호 _ 남해 망운암 건륭을사명동종 망운사 보광전 망운산 망운사(望雲山 望雲寺) 남해 진산 망운산 8부 능선에 자리잡은 망운사는 중병을 앓는 사람들이 기도하는 영험한 절입니다. 망운산 정상 부근에 있는 마운사는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지만 화방사의 부속 암자로 화방사를 건립할 때 같이 건립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개의 명승지들이 관광지로 탈바꿈하여 세속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동자승들이 눈빛처럼 맑음을 간직한 곳이다. 망운사에는 중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기도를 하면 병이 낫는다는 영험을 안고 있는 기도도량이다. 보물급에 해당하는 보살을 형상화한 석불이 있는데 수백 년 인고의 세월을 이..

문화재/사찰 2021.05.11

대구 부인사

대구 부인사에 있는 문화재 1.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호 _ 부인사 석등 2.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호 _ 부인사 서탑 3.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8호 _ 부인사 부도 4.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3호 _ 부인(부인)사지 5.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2호 _ 부인사 일명암지 석등 대구 부인사 전경 부인(부인)사 夫人(符仁)寺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부인사(符印寺) 또는 부인사(夫人寺)라고도 일컬어진다. 부인사지(符仁寺址)는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3호로 지정되어 있다. 역사적 변천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나 예로부터 선덕묘(善德廟)라는 사당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신라 선덕여왕 때 창건된 사찰로 추정된다. 불교가 흥왕하였던 신라와 고려 때에는 약 2,000명..

문화재/사찰 2021.04.16

대구 북지장사

대구 북지장사에 있는 문화재 1. 보물 제805호 _ 대구 북지장사 지장전 2. 대구광역시 제6호 _ 북지장사 삼층석탑 3. 대구광역시 제15호 _ 북지장사 석조지장보살좌상 4.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1호 _ 대구 북지장사 아미타삼존불좌상 5.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5호 _ 대구 북지장사 금고 대구 북지장사 지장전 (大邱 北地藏寺 地藏殿) 대구 북지장사 (大邱 北地藏寺)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1192년(명종 22)에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1040년(정종 6)에 최제안(崔齊顔)이 쓴 경주 천룡사(天龍寺)의 중창과 관련된 신서(信書)를 보면 북지장사의 납입전(納入田)이 200결(結)이라고 기록하고 있어, 이 절이 매우 규모가 컸던 큰 절..

문화재/사찰 2021.04.09

나주 운흥사

나주 운흥사에 있는 문화재 1. 보물 제694-2호 _ 불조심경 2.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60호 _ 나주 운흥사지 금동여래입상 3. 국가민속문화재 제12호 _ 나주 운흥사 석장승 운흥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인 백양사 말사이다. 운흥사 대웅전(雲興寺 大雄殿) 나주 운흥사(羅州 雲興寺) 운흥사는 덕룡산 기슭에 있는 고찰이었다. 1775년 정문(鄭文)이 쓴 진여문4중창기(眞如門四重創記)에 의하면 당 희종년간(846∼887)에 도선국사가 이곳의 지세가 좋아 흥덕으로부터 와서 이곳 도성암(道成庵)에서 첫 강회를 열고 터전을 닦은 후 신라 효공왕 년간(897∼911)에 이곳에 웅점(熊岾)에 웅치사(熊峙寺) 창건하였다. 그후 언제인가 운흥사로 바꾸었다. 1775년 당시에는 대웅전 침계루 등 380여칸..

문화재/사찰 2021.03.25

구미 수다사

구미 수다사에 있는 문화재 1. 보물 제1638호 _ 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 2.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9호 _ 수다사 명부전 3.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34호 _ 구미 수다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4.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35호 _ 수다사 건륭37년 명동종 구미 수다사 대웅전(龜尾 水多寺 大雄殿 * 선산 지역의 가장 오래된 절, 수다사 * 수다사는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12번지 연악산(淵岳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다. 수다사는 통일신라시대에 하동 쌍계사를 중창한 진감국사 혜소 스님이 창건한 사찰로, 도리사와 더불어 선산 지역의 가장 오래된 절 가운데 하나다.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걸쳐 계속해서 법등을 이어왔으며, 임진왜란 때는 의승군이 결집하여 호국법회를 열었..

문화재/사찰 2021.03.19

구미 대둔사

구미 대둔사에 있는 문화재 1. 보물 제1633호 _ 구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2. 보물 제1945호 _ 구미 대둔사 대웅전 3. 보물 제2025호 _ 구미 대둔사 삼장보살도 4. 보물 제2117호 _ 구미 대둔사 경장 보물 제1945호 _ 구미 대둔사 대웅전 (龜尾 大芚寺 大雄殿) 구미 대둔사(龜尾 大芚寺)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446년 화상 아도(阿道)가 창건하였다는 설이 있으며, 1231년(고종 18) 몽고족의 침략으로 불타 버린 뒤, 충렬왕 때 왕자 왕소군(王小君)이 출가하여 중창하였다. 1606년(선조 39) 유정(惟政)이 중건하여 승군을 주둔시켰는데, 당시의 암자는 10여 개에 이르렀다고 한다. 민족 항일기에는 사찰이 퇴락하여 시왕전의 불상까지 진주의 ..

문화재/사찰 2021.03.17

강진 금곡사

강진 금곡사 삼층석탑 강진 금곡사(康津 金谷寺) 한국불교태고종에 속한다. 신라 선덕여왕 때 활동하던 밀종(密宗)의 큰스님 밀본(密本)이 창건하여 성문사(城門寺)라 했다고 한다. 그러나 백제의 영토에 신라 승려가 와서 창건했다는 것은 신빙성이 없다. 1481년(성종 12)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금곡사라고 나와 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의승군의 훈련장으로 활용하다가 왜군의 침습으로 소실했다. 1799년(정조 23)에 편찬된 『범우고(梵宇攷)』에는 이미 폐사되었다고 나와 있다. 일제강점기에 절터에 건물을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로는 무량수전을 비롯하여 칠성각·범종각·요사채가 있다. 무량수전에는 목조삼존불이 봉안되어 있으나, 모두 근대에 조성된 작품이다. 유물로..

문화재/사찰 2021.02.25

보은 법주사 복천암

보은 법주사 복천암에 있는 문화재 1. 보물 제1416호 _ 보은 법주사 복천암 수암화상탑 2. 보물 제1418호 _ 보은 법주사 복천암 학조화상탑 3.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98호 _ 보은 법주사 복천암 극락보전 4.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05호 _ 보은 법주사 복천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5.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06호 _ 보은 법주사 복천암 신중도 6.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07호 _ 보은 법주사 복천암 삼세불도 보은 법주사 복천암전경 복천암(福泉庵)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의 산내 암자이다. 720년(신라 성덕왕 19)에 창건되었으며, 고려 공민왕(재위:1351∼1374)이 극락전에 무량수(無量壽)라는 편액을 친필로 써서 내렸다. 조선 세조가 1464년 이 절에서 신미(信眉)..

문화재/사찰 2021.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