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09 8

문조비 신정왕후 왕세자빈 책봉 죽책

_ 프랑스, 2018년, 조선, 1819년(순조 19), 대나무에 금속, 전체 25.0×102.0cm 문조비 신정왕후(1808~1890년)를 1819년 왕세자빈으로 책봉하던 당시 제작한 죽책이다. 강화도 외규장각에 보관되어 있던 이 죽책은 1866년 병인양요 당시 불타 없어진 것으로 추정해왔었으나, 2017년 프랑스의 한 개인이 경매에 내놓은 것을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유통조사 과정에서 확인하였다, 민간기부금(라이엇 게임즈 후원)으로 경매에 참여하여 국내로 환수하였다. 문조(18029~1860년) : 효명세자. 순조(順祖, 재위 1800~1834년)의 아들로 요절하여 실제 왕위에 오른 적은 없으나 1834년(헌종 즉위년)에 익종으로, 1899년(광무 3)에 문조로 추존되었다. 2022.07.17. 국립고궁..

충청남도 기념물 제165호_홍성 결성읍성

충청남도 기념물 제165호 _ 홍성 결성읍성 (洪城結城邑城) 면 적 : 11,913㎡ 지정일 : 2004.04.10 소재지 : 충남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 산28-2번지 시 대 : 1451년 완축 홍성군 결성면 소재 결성읍성은 치소(治所)를 석당산성(石堂山城)으로 옮긴 후 51년만인 1451년에 완축(完築)하였고 『세종실록지리지』와『신동국여지승람』, 『충청도읍지』, 『여지도서』 등에 기록이 전하고 있다. 규모는 성 주위 약 1,007m(3,325척)이며, 성벽높이 내측 약 2∼3m, 외측 약 3∼6m이고, 성벽 기저부 폭 약 4.5m이다. 성을 개축하면서 구간마다 도내 각읍(各邑)이 나누어 쌓은 것을 표시한 아산 지역의 기각역축(記刻役築) 기록이 북쪽 성벽에 남아 있다. 읍성 내에는 17개의 관아건물이 있..

이로당상량문(二老堂上樑文)

_ 이하응(추정), 1869년, 종이에 먹, 서울역사박물관 이하응의 글씨로 추정되는 상량문 운현궁의 안주인 부대부인(府大夫人) 민씨(閔氏, 1820~1898)가 생활하던 별채 이로당의 상량문이다. 영의정 김병학(金炳學, 1821~1879)이 지은 55행 663자의 글을 붉은 종이에 예서체로 썼다. 상량문의 글씨를 쓴 인물은 밝히고 있지 않으나 1865년에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쓴

노안당상량문(老安堂上樑文)

_ 이하응(추정), 1864년, 비단에 금니,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19세기 명필 이하응의 글씨로 추정되는 상량문 1994년 운현궁 중수공사 때 노안당 대들보 아래에서 나온 상량문이다. 좌의정 조두순(趙斗淳)이 지은 29행 661자의 글을 붉은 비단에 금니로 썼으며 해서체이다. 내용은 이곳이 고종이 나고 자란 장소로 형제들의 도타운 우애로 왕위를 잇게 된 이야기, 방계에서 대를 이었던 중구의 사례, 공역을 벌인 사정 및 당호에 대한 설명 등이다. 상량문 글씨를 쓴 인물은 밝히고 있지 않으나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필적으로 짐작된다. 2022.07.10. 서울역사박물관_명품도시 한양 보물 100선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양호처사가도첩(楊湖處士家圖帖)

_ 작가미상, 1600년, 종이에 채색,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서한강의 실경을 그린 산수화 현재의 강서구 염창동에 있던 이덕연(李德演, 1555~1636)의 별서(別墅)인 이수정(二水亭)에서 바라본 북쪽의 삼각산과 동쪽의 잠두봉, 서한강의 모습을 그린 와 정유재란 때 파견되었던 명나라 장수 만세덕(萬世德)이 남긴시가 수록된 시화첩이다. 는 안양천 부근의 명승명소를 그린 그림으로, 서울 근교 지역의 실경산수화 중 가장 시기가 올라가는 작품이다. 2022.07.10. 서울역사박물관_명품도시 한양 보물 100선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선화첩(扇畵帖)

_ 유덕장 · 정선 · 윤덕희 외, 17세기말~18세기, 종이에 수묵,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문인화가 산수화를 모은 화첩 숙조 · 영조 연간의 문인화가 11인의 부채 그림 16점을 모은 화첩이다. 유덕장의 묵죽을 제외하면 산수화 또는 산수인물화로, 조선 중기의 절파화풍에서 후기의 남종화풍으로 이행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23 · 24면의 는 윤덕희(尹德熙. 1685~1766)가 1733년에 아버지 윤두서의 절친이며 자신과도 교유하던 최익한(崔翼漢)에게 그려준 것이다. _ 유덕장 · 정선 · 윤덕희 외 2022.07.10. 서울역사박물관_명품도시 한양 보물 100선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