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12 3

동래부순절도(東萊府殉節圖)

_ 1834년(순조 34), 울산박물관 1592년 4월 15일 왜구에 맞서 대항하다 순절한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과 동래부민의 저항을 중심으로 동래성의 전투 상황을 묘사한 일종의 전쟁기록화이다. 화면 좌측 하단에 "임진왜란 이후 243년이 지난 갑오년(1834) 4월에 동래부 천총 화사 변곤이 그렸다. [萬歷任辰二百四十三年午四月日 書師本府千摠卞崑]"는 화기가 있어서 이 그림의 제작 시기와 화가를 알 수 있다. 변박이 1760년 당시 동래부순절도를 모사했듯이 변곤도 동래부 출신의 무반직 화원으로서 이 그림을 모사하였다. 동래부순절도는 현재 세 점이 알려져 있다. 울산박물관 소장본 외에 나머지 두 점은 보물 제392호로 지정된 육군박물관 소장본과 여산 송씨 문중소장본이다. 순절도 세 점의 내용은 대동소이하..

최북(崔北)의 <괴석도(怪石島) · 석란도(石蘭島)>

_ 최북(崔北, 1712~1786), 부산박물관 소장 바위 · 난초 최북은 조선 후기에 활동한 여항(閭巷)문인이자 화가로 산수 · 인물 · 화조 · 초충(草蟲) 등 다양한 장르의 그림에 뛰어났다. 그는 1747~1748년 조선통싱사의 일원으로 일본에 다녀왔으며, 심한 술버릇과 기이한 행동으로 인해 많은 일화를 남겼다. 거친 필선과 파격적 구성을 보이는 그의 일부 작품은 이러한 그의 기인적 기질에 부합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대부분의 작품은 산뜻한 색감을 바탕으로 소박하고 시적인 분위기를 자아 낸다. 와 는 후자의 범주에 속하는 그림으로 분류할 수 있다. 는 다소 거친 필선 구사와 농담 조절로 바위의 형태를 표현하면서도 바위 아래에 녹색과 청색으로 풀을 그림으로써산뜻한 느낌을 부여하였다. 에서도 적절한..

이건희컬렉션, 사천장시화첩(斜川莊詩畵帖)

_ 그림:이신흠(1570~1631), 글:이호민(1553~1634) 등 34인, 조선 1617~1646년, 그림 : 비단에 종이에 엷은 색, 글 : 종이에 먹, 국립중앙박물관 이호민은 관직에서 물러나 경기도 양평에 있었던 사천장에서 지냈다. 이 서화첩은 사천장의 풍광을 칭송하는 당대 최고 문장가 34명의 시와 당대 최고화가 이신흠의 그림을 합쳐서 꾸민 것이다. 가문의 위세를 그림과 글로 후대에 전하고자 한 의도가 담겨있다. 사천장시화첩 춘권 제2면 사천장팔경도(斜川莊八景島) 사천장((斜川莊) 주변 경관을 그린 그림이다.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일대를 회화식 지도처럼 그리고 지명을 붉은 글씨로 적었다. 사천장시화첩 하권 제7~8면 오언시(五言詩)_조희열(1575~1638), 조선1625년 이경엄은 중국동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