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9 125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83호 _ 진천 강세황 묘소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83호 _ 진천 강세황 묘소 (鎭川 姜世晃 墓所) 수량/면적 ; 1곽 지정일 : 2011.03.04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도하리 510-10 豹菴 姜世晃(1713~1791)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文人畵家이자 文章家, 書藝家, 評論家로서 詩ㆍ書ㆍ畵 三絶로 불렸고 당시 畵壇에서 “禮願의 總帥”로서 중추적인 구실을 했다. 本貫은 晉州 字는 光之, 號는 忝齎, 山響齎, 樸菴, 宜安子, 繭菴, 露竹, 豹菴, 海山亭, 紅葉尙書, 無限景樓, 道菴, 端硏齋, 借軒, 豹翁, 豹老, 豹翁老子 등이다. 父親은 判中樞府事를 지낸 文安公 鋧이며, 母親은 廣州李氏 翊晩의 따님 貞敬夫人 李氏이다. 그리고 3男 6女중 막내인 姜世晃은 집안 先祖들과 두터운 관계로 英⋅正祖에게 상당한 배려를 받았고,..

진천 사곡리 단석(鎭川 沙谷里 斷石)

진천 사곡리 단석(鎭川 沙谷里 斷石) 소재지 : 진천군 이월면 사곡리 화랑도는 신라(BC57~935)의 발전에 뒷받침이 될 새로운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청소년 단체로 진흥왕 때 조직이 체계화되어 유능한 인재들이 많이 배출되었으며, 그 대표적인 인물이 진천 출신의 흥무대왕 김유신이다. 신라의 청소년들은 신라가 팽창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화랑조직을 통하여 명산 · 대천을 찾아 다니며 단체생활과 공동의 의식을 수행하였다. 김유신은 15세에 화랑에 입문하여 최고의 자리인 국선에 올랐으며,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기록에 의하면 화랑에 입문하여 수련하던 중 난승(難勝)이라는 도인을 만나 삼국통일의 비책을 받았다고 한다. 이 단석은 커다란 바위를 칼로 쳐서 잘라 놓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김유신이 화랑에 입문한 ..

천연기념물 제13호_진천 노원리 왜가리 번식지

천연기념물 제13호 _ 진천 노원리 왜가리 번식지 (鎭川 老院里 왜가리 繁殖地) 면 적 : 292,655㎡ 지정일 : 1962.12.07 소재지 : 충북 진천군 이월면 논실길 113-12 (노원리) 소유자(소유단체) : 평산신씨 중헌공파종중 외 왜가리는 우리나라의 백로과 새들 중에서 제일 큰 새로 우리나라 전지역에 걸쳐 번식하는 여름새이며, 일부는 남쪽 지방과 섬 지방에서 겨울을 나는 텃새이다. 논·하천·갯벌에서 살며 개구리, 물고기, 뱀 등을 잡아 먹는다. 진천의 왜가리 번식지는 1970년까지 노원리 보호 지역내에서 자라고 있는 은행나무를 중심으로 수백 마리의 백로류 및 왜가리가 번식하여 왔다. 그러나 현재는 이 은행나무가 새들의 배설물에 의해 말라 죽어가고 있으며, 5∼6개 둥지의 중대백로만 남아 있..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38호_진천 용화사 석조여래입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38호 _ 진천 용화사 석조여래입상 (鎭川 龍華寺 石造如來立像)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12.31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신정리 584-4 소유자(소유단체) : 대한불교조계종 용화사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신정리에 있는 높이 7m의 커다란 불상으로 타원형의 얼굴에 은근한 미소가 보인다. 머리 꼭지에는 벙거지 같은 것이 올려져 있는데 나중에 고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목에는 3줄로 새겨진 삼도(三道)가 있고 그 아래에 표현된 목걸이 장식은 얼굴과 함께 불상을 돋보이게 하고 있다. 신체는 부피감이 거의 없는 커다란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옷은 가슴을 드러낸 채 양 어깨에 걸쳐 입었고 하체에는 U자 모양의 주름을 겹쳐 나타냈다. 가슴 앞에 들고 있는 오른손이나..

진천 노원리 마애여래입상 찾아가는 길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9호 _ 진천 노원리 마애여래입상 (鎭川 老院里 磨崖如來立像) 수 량 : 1구 지정일 : 1997.06.27 소재지 : 충북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 산39-2번지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에 있는 석조불상으로, 거대한 암벽에 높이 6.1m, 너비 4.2m로 대좌(臺座)와 함께 얕게 새겼다. 전체적인 표현이 형식적이고 도식화되었으나 머리광배와 몸광배가 뚜렷하고, 얼굴에서 풍기는 원만한 모습이 다른 불상과 비교되는 특징이다. 부드러운 미소, 감은 듯한 눈, 양 어깨에 걸치고 있는 옷, 수평으로 조각된 대좌 등에서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거대한 불상임을 알 수 있다. 진천 노원리 마애여래입상 표지판 이 안내표지판 주변에 차를 주차하고 500m를 가면 노원리 마애여래입상을 만날 수 있습니..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89호_안동 봉황사 목조삼전패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89호 _ 안동 봉황사 목조삼전패 (安東 鳳凰寺 木造三殿牌) 수 량 : 3점 지정일 : 2015.12.28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봉황사길 152 (임동면) 시 대 : 조선 1692~1694 추정 안동 봉황사 목조삼전패는 봉황사 대웅전 불단 위에 봉안되어 있는 「主上殿下壽萬歲」, 「王妃殿下壽齊年」, 「世子邸下壽千秋」 등이 적힌 3점의 목전패이다. 이들 전패는 모두 패좌와 패신 두 장의 목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양각 등의 조식은 거의 없는 단순한 모양이다. 「主上殿下壽萬歲」전패의 배면에 조성기가 墨書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1692년이라는 제작연대와 봉안처, 조각가 등을 알 수 있다. 봉황사 삼전패는 조성연대와 조성자 琢璘을 알 수 있어 대다수 연대를 알 수 없는 불교 목공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