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06 5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5호_복천사 석가영산회상도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5호 _ 복천사 석가영산회상도 (福泉寺 釋迦靈山會上圖) 수 량 : 1폭 지정일 : 2005.12.27 소재지 :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3가 산 6 시 대 : 1921년 「복천사 석가영산회상도(福泉寺釋迦靈山會上圖)」는 복천사 옛 대웅전의 석가여래 좌상 뒤편 후불벽 전면에 봉안된 후불탱화이다. 화기(畵記)를 통해 「복천사 석가영산회상도」가 1921년 12월 동래군 명장리 석금대에 봉안되었고, 증명 비구 혜명(慧明), 금어 완호(玩虎), 시찬(施讚) 등이 관여하였음을 밝히고 있어, 1921년 조성된 이후 어느 시기에 복천사로 이안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2005년 12월 27일 부산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35호로 지정되었다 「복천사 석가영산회상도」의 크기는 세로 125.7㎝, 가로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54호_금동십일면관음보살좌상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54호 _ 금동십일면관음보살좌상 (金銅十一面觀音菩薩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2015.03.18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63번길 2 (장전동, 부산대학교 박물관) 부산대학교박물관 소장 금동십일면관음보살좌상은 머리에 높은 보관을 썼고, 머리에 쓴 보관은 2단을 이뤄 화불(化佛)을 포함하여 십일면을 조각하였는데 그 모습이 조금씩 다르게 표현되어 있으며, 상단에 앉아 있는 화불은 대좌를 갖추고 있다. 보관대(寶冠帶)에는 다섯 잎의 꽃무늬를 도드라지게 조각하고 그 좌우 측면에는 리본모양으로 작은 매듭이 묶여져 있다. 왼손의 검지를 구부려 세우고 오른손을 감싼 형태의 지권인(智拳印) 모양의 수인(手印)을 취하고 앉아 있는 보살좌상으로, 신체에 비해 큰 머리, 매우 좁..

이건희컬렉션, 강요배(姜堯培)의 홍매

_ 강요배(姜堯培, 1952 ~ , 제주 ), 2005년, 캔버스에 아크릴, 국립현대미술관 꽃망울을 틔우려는 볽은 매화를 표현한 이 작품은 전통적인 구상이나 추상이라는 표현의 경게를 넘어서 있다. 캔버스에 겹겹이 쌓아올린 물감과 흐릿하고 짧은 선으로 매화나무 줄기를 표현했는데, 이러한 표현법은 조선 조화기법 분청사기를 떠올리게 한다. 강요배는 추상화 같은 풍경화로 자신의 심리 변화를 드러냈다. _ 강요배(姜堯培, 1952 ~ , 제주) 2022.04.28., 국립중앙박물관, 故 이건희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_어는 수집가의 초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5호_복천사 조상경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5호 _ 복천사 조상경 (福泉寺 造像經) 수 량 : 1권 1책 지정일 : 2006.07.03 소재지 : 부산광역시 영도구 산정길 41 (신선동3가) 시 대 : 1575년 조상경은 조선시대 승려인 지탁(知濯)이 찬집한 1권 1책의 불교의식집으로 여러 경전에 산재하여 있는 불·보살상(佛菩薩像)의 조성에 따른 제반 의식과 절차에 관한 내용을 모아 체계화한 책이다. 은 사찰에서 불·보살상을 조성할 때의 의식 절차를 설명하고 그 의식의 종류마다 의의를 부연하였는데, 이를 행할 때 외우는 주문은 범어·한문·한글을 병기하여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한 점이 특징이다. 이 편찬되기 이전에는 모든 사찰마다 각기의 주관에 따라 불상을 조성하고 의식절차를 행하였기 때문에 통일성이 없었으나, 이 ..

보물 제1860호_부여 무량사 삼전패

보물 제1860호 _ 부여 무량사 삼전패 (扶餘 無量寺 三殿牌) 수 량 : 3점 지정일 : 2015.03.04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무량로 203 (외산면, 무량사) 부여 무량사 삼전패는 1654년에 철학, 천승, 도균이 제작한 것으로 “二層殿丹靑畢後而兼備三殿牌(이층전 단청을 마친 후 삼전패를 겸비하였다)”라는 묵서명에서 알 수 있듯이 왕실의 안녕을 위해 제작된 것이다. 형태는 전형적인 불패 형식을 갖추었으며, 사실성과 조각성이 뛰어난 용 조각, 황금색과 홍색 위주의 단청, 보란을 갖춘 삼단대좌 등 공예기술도 뛰어나 조선 17세기 불교 목공예품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제작 연대와 제작 장인들을 알려주는 묵서명이 있는 점과 규모가 큰 점 등에서 조선후기 불교목공예의 편년과 도상연구의 ..

문화재/보물 2022.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