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17 6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37호_한원진 초상 일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37호 _ 한원진 초상 일괄 수 량 : 7점 지정일 : 2016.03.10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아문길 20 (홍성읍, 홍주성역사관) 한원진이 59세 되던 해인 1740년(영조 16) 5월, 그의 문인 용재(庸齋) 김근행(金謹行, 1713~1784)의 주도 아래 화원 진응회(秦應會, 1705~?)가 처음 그렸다. 하지만 당시 제작된 작품은 전하지 않으며, 현존하는 초본과 정본 초상화는 모두 후대의 이모작(移摹作)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한원진 초상’은 총 9점이며, 황강영당본과 국립중앙박물관본을 제외한 나머지 7점이 홍성의 종가 소장품이다. 9점 모두 심의복건상(深衣幅巾像)이라는 공통점을 지니며, 단일 인물의 초상화로서 ‘송시열 초상’에 버금가는 수량이지만, 각각의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03호_임득의 초상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03호 _ 임득의 초상 (林得義 肖像), 복제품 수 량 : 1점 지정일 : 2010.07.30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임득의(林得義, 1558-1612)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자는 자방(子房)이고 본관은 평택이다. 1596년에 일어난 이몽학(李夢鶴)의 반란을 평정한 공으로 1604년(선조 37) 청난공신(淸難功臣) 3등에 책록되었고, 충청수우후(忠淸水虞侯)와 경상우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함. 은 가전(家傳)되어옴 임득의 초상 (林得義 肖像), 복제품 임득의(林得義, 1558~1612)의 초상. 임득의 장군은 이몽학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청난공신에 보해졌으녀, 이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왕명으로 공신상을 그렸다. 조선 중기초상화 기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임득의 초상 상반신, 복제품 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7호_민건호 필사본 일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7호 _ 민건호 필사본 일괄 (閔建鎬 筆寫本 一括) 수 량 : 32점 지정일 : 2018.01.31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박물관) 시 대 : 조선후기 19세기 후반, 20세기 초 ○ 해은일록(海隱日錄) 29책, 해은만록(海隱謾錄) 1책, 해은수연운(海隱壽宴韻) 1책, 동행일록(東行日錄) 1책, 합계 32책이다. 저자는 민건호(閔建鎬)다. 민건호는 전라남도 해남 출신이다. 1843년 8월 27일 태어나서, 1920년 1월 19일 사망하였다. 1883년 12월 부산항 감리서 서기로 관료 생활을 시작하였다. 그 이후 감리서 방판, 다대진첨사 등을 역임하면서 1894년까지 부산에 생활하였다. 이때 쓴 일기가 해은일록이다. ○ 1881년 박정양(朴定陽..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27호_전일상 영정 및 한유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27호 _ 전일상 영정 및 한유도 (田日祥 影幀 및 閒遊圖) 수 량 : 2점 지정일 : 1987.12.30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아문길 20 (홍성읍, 홍주성역사관) 화가 김희겸이 그린 그림으로, 조선시대의 무신인 석천 전일상(1700∼1753) 선생의 초상화 1점과 선생이 한가로이 더위를 피하고 있는 풍경을 그린 한유도 1점이다. 전일상 선생은 경상좌병사로 종2품의 당상요직을 지낸 인물이다. 비단에 채색하여 그린 선생의 초상화는 가슴의 흉배에 두마리의 학을 수놓은 관복을 차려 입고, 의자에 앉아 있는 전신좌상으로, 가로 90.2㎝, 세로 142.4㎝의 크기이다. 한유도는 가로 87.5㎝, 세로 119.5㎝의 크기로, 선생이 누마루가 있는 정자 위에 앉아 한가로이 더위를 피하..

석가모니 제자 '원상주' 존자

_ 고려 1235년, 개인 소장 석가모니 제자인 오백인 가운데 329번째인 원상주(圓上周)존자다. 화면 상단의 묵서로 나한의 차례와 존명을 확인할 수 있다. 부리부리한 눈매와 양팔의 근욱 등에서 힘과 기운이 느껴진다. 시선은 화면 왼쪽 상단의 용을 향해 눈빛으로 용을 제압하는 듯한 모습이다. 화기에서 '을미(乙未)'라는 간지와 '인병소멸(隣兵速滅)' 즉 "가까이 있는 적의 군사를 빨리 격퇴시키길 바란다" 라는 발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 작품이 병란에 시달리던 1235년 나한의 신통함에 기대어 국가의 안위를 빌고자 그려졌음을 알 수 있다. 2022.06.03. 부산박물관_ 치유의 시간, 부처를 만나다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