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16 7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1호_류성룡 필 진시무차 초고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1호 _ 류성룡 필 진시무차 초고 (柳成龍 筆 陳時務箚 草稿) 수 량 : 1점 지정일 : 2012.05.17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시 대 : 조선 1592년 이 작품은 서애 류성룡이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 11월 평안도 정주(定州)에 있으면서, 국가의 시무(時務)에 대하여 올린 차자(箚子)의 초안이다. 1633년(인조 11)에 간행된 『서애집(西厓集, 서애선생문집)』 권5, 차(箚), 「진시무차(陳時務箚) 임진 11월 재정주(壬辰十一月 在定州)」의 초고에 해당하는 문서이다. 이 차자는 세로로 116행의 초서(반초서)로 쓰여 있으며, 가로로 9장의 한지를 이은 두루마리 형태로, 첫째 장은 앞부분이 잘렸고, 아홉째 장은 끝..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33호_홍성 전세진 유품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33호 _ 홍성 전세진 유품 수 량 : 19점 지정일 : 2015.12.21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아문길 20 (홍성읍, 홍주성역사관) 전세진 유품은 총19점으로 송덕산(만인산), 사명기, 용머리 가자, 함꿰와 전세진과 관련된 홍패 등 고문서 15점으로, 만인산(萬人傘)은 “예전에 고을 백성들이 비단을 일산 모양으로 만들어서 가장자리에 여러 비단 조각을 늘어뜨려 유지들의 이름을 기록하여 만든 물건”을 가리킴. 만인의 이름을 수 놓아 산개(傘盖) 형태로 만들어 수를 놓았다고 하여 수산(繡傘)이라고 하거나, 수를 놓은 고을 사람들의 숫자를 따서 ‘천인산(千人傘)’ 혹은 ‘만인산’이라고 부르거나, 산(傘)을 받는 사람의 공덕을 우러른다고 하여 송덕산(頌德傘)이라고도 부름. 전세진 관..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4호_이덕성가 문적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4호 _ 이덕성가 문적 (李德成家 文籍) 수 량 : 고문서 67매, 고서 10종 13책 지정일 : 2008.04.02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이덕성가는 정치적으로는 소론, 학문적으로는 양명학적인 입장을 견지하면서 조선후기에는 강화학파를 형성하여 조선 중기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조선조 사회에 정치적, 학술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끼친 집안으로, 세상에서 말하는 육진팔광(六眞八匡)을 배출하였다. 아울러 대대로 명필을 많이 배출하여 이광사의 필체는‘원교체’라 하여 추사 김정희와 쌍벽을 이루었다. 이 고문서들은 모두 임진왜란 이후인 17~18세기의 것들이다. 이들 문적들이 시기적으로는 300~400년 남짓하지만 보물 제1501호로 지정된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47호_전운상 영정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47호 _ 전운상 영정 (田雲祥 影幀) 수 량 : 1점 지정일 : 1995.10.07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아문길 20 (홍성읍, 홍주성역사관) 조선 후기의 무신인 전운상(1694∼1760) 선생의 초상화이다. 전운상은 숙종 43년(1717) 24세의 나이로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함경도 부사로 있을 때 어진 정치를 베풀어 왕의 표창을 받기도 하였다. 비단 바탕에 채색하여 그린 선생의 초상화는 감색 조복을 입고 의자에 앉아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전신좌상으로, 크기는 가로 88.0㎝, 세로 136.5㎝이다. 의자에는 호랑이 가죽이 덮혀 있고, 두손은 옷 소매자락 안에 공손히 모아 두었으며, 가죽신을 신고 있는 발은 팔(八)자 모양으로 벌리고 있다. 관복은 호랑이무늬가 있는 흉배를 ..

화산(華山)의 <죽호도(竹虎圖)>

_ 화산(華山), 조선 19세기, 종이에 수묵담채 대나무와 호랑이 사선으로 높게 뻗은 대나무 아래에 앉아있는 호랑이의 모습을 그렸다. 화가의 이름이나 호(號)가 쓰여있지 않고 하단에 '화산(華山)'이라 찍힌 백문방인*만 남아있다. 호랑이의 얼굴과 꼬리에는 표범을 연상시키는 둥근 점이, 몸체에는 호랑이 특유의 줄무늬가 그려져 있다. 이러한 표현은 부산지역에서 대일(對日) 교역용 작품을 그린 화가들의 호랑이 그림에서 두드러진다. *백문방인(白文方印) : 글씨를 음각으로 새겨 찍었을 때 글씨가 흰색인 네모난 도장 2022.06.03.부산박물관_2022 제1회 신수유물 소개전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홍성 상하리 마애보살입상 찾아가는 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0호 _ 홍성 상하리 마애보살입상 (洪城 上下里 磨崖菩薩立像) 수 량 : 1구 지정일 : 2019.01.30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상하리 산 1-1 시 대 : 고려 「홍성 상하리 마애보살입상」은 충남 지역 고려 전기 불상인 홍성 신경리 마애석불, 홍성 고산사 석조여래입상, 예산 삽교 석조보살입상 등과 같이 옆으로 길게 늘어진 눈의 모습이나 넓직한 상호 등의 표현과 낮은 부조로 양각하고 하체로 갈수록 선각에 가깝게 간략하게 표현한 방식 등이 충남지역의 지방화된 고려 석불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 학술적, 문화재적 가치가 높음 - 더불어, 홍성 용봉산 지역은 태봉, 고려, 후백제의 접경지대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이자 홍성 지역 호족들이 후삼국을 거치며 태조 왕건 부인 흥..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7호_홍성 상하리 미륵불, 만물바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0호 _ 홍성 상하리 마애보살입상 (洪城 上下里 磨崖菩薩立像) 수 량 : 1구 지정일 : 2019.01.30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상하리 산 1-1 시 대 : 고려 「홍성 상하리 마애보살입상」은 충남 지역 고려 전기 불상인 홍성 신경리 마애석불, 홍성 고산사 석조여래입상, 예산 삽교 석조보살입상 등과 같이 옆으로 길게 늘어진 눈의 모습이나 넓직한 상호 등의 표현과 낮은 부조로 양각하고 하체로 갈수록 선각에 가깝게 간략하게 표현한 방식 등이 충남지역의 지방화된 고려 석불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 학술적, 문화재적 가치가 높음 - 더불어, 홍성 용봉산 지역은 태봉, 고려, 후백제의 접경지대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이자 홍성 지역 호족들이 후삼국을 거치며 태조 왕건 부인 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