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07 5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67호_김좌진장군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67호 _ 김좌진장군비 (金佐鎭將軍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백야로546번길 12 (행산리) 시 대 : 1949 독립운동에 일생을 바친 김좌진 장군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이다. 김좌진(1889∼1930) 장군은 홍성에서 태어나 15세에 집안의 노비를 풀어주고, 그들에게 농사지어 먹고 살만한 논밭을 골고루 나누어 주었다. 1905년 서울로 올라와 육군무관학교에 들어갔으며, 1907년 고향에 돌아와 호명학교를 세우고 90여칸의 자기집을 학교건물로 쓰게 했다. 광복단에 들어가 항일투쟁을 하다 1918년 만주로 건너가 3.1 독립선언에 전주곡이 되는 무오독립선언서에 39명의 민족지도자의 한사람으로 서명하였다. 그 후 북로..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65호_홍가신청난비, 청난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65호 _ 홍가신청난비 (洪可臣淸亂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월산리 산1 시 대 : 1641년 홍가신(1541∼1615)이 이몽학의 난을 평정한 후, 그 사실을 후세에 전하고자 세워놓은 비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후 계속되는 흉년으로 민심이 동요된 틈을 타서 왕의 종친이면서도 서자인 이몽학이 조선 선조 30년(1597)에 반란을 일으켜 홍주성을 쳐들어 왔다. 당시 홍가신은 홍주목사로 있으면서 난을 평정하였고, 그 공으로 청난공신(淸難功臣) 1등에 봉해졌다. 비는 인조 19년(1641)에 세웠는데, 오랫동안 돌보지 못하여 파손된 것을 1973년 홍성군수가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홍가신청난비 (洪可臣淸亂碑) 표지판 이 ..

예천 한천사 지장시왕도

예천 한천사 지장시왕도(醴泉 寒天寺 地藏十王圖) _ 조선 1748년 조성, 도난일 미상 중앙의 지장보살과 좌우 협시인 도명존자, 무독귀왕, 좌우로 10명의 시왕과 상단의 여섯 보살이 함께 그려진 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이다. 상단의 여섯 보살과 중 · 하단의 지장보살 및 권속은 구름으로 구획을 나누어 존격을 표현하고 있다. 지장보살 상단으로는 늙은 비구로 추정되는 인물이 표현되었는데 다른 지장시왕도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도상이다. 지장시왕도 조성이 유행하기 시작하던 18세기 초반 도상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이 불화의 장황은 원형이 몇 차례 변형된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족자 형태로 표구되었다. 화기가 일부 잘려나가고, 사찰명과 조성시기 등 일부 기록이 훼손되어 원 소장처를 알아 볼 수 없다. 하지만 사..

국가민속문화재 제231호_홍성 노은리 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제231호 _ 홍성 노은리 고택 (洪城 魯恩里 古宅) 수량/면적 : 1필지/3,088㎡ 지정일 : 1996.02.13 소재지 : 충남 홍성군 홍북면 최영장군길 11-26 (노은리) 이 고택은 조선시대 사육신*의 한 분인 성삼문과 관련된 집으로 성삼문의 외손자인 엄찬이 살았던 집으로 1676년 전까지 성삼문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고 전해진다. 병자사화** 당시 성삼문 집안의 남자들이 모두 처형되어 성삼문의 둘째딸(효옥)이 이곳으로 와 부친의 제사를 지내며 일생을 보냈다고 한다. 약간 높은 대지에 경사진 지형을 활용하여 서쪽을 바라보도록 하였는데, 안채를 ’⊓‘자로 놓고, 그 앞에 행랑채를 ’−‘자로 놓아 전체적으로 ’ㅁ‘자형의 모습을 하고 있다. 따라서 안마당은 외부에서 드러나지 않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