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24 4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9호_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9호 _ 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 (吳命恒先生討賊頌功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8.11.10 소재지 : 경기 안성시 낙원동 609번지 1728년(영조 4)에 이인좌(李麟佐)가 일으킨 반란을 토벌한 오명항(吳命恒, 1673~1728)의 공적을 칭송한 비이다. 오명항은 안성과 죽산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고 이인좌의 난을 진압하여 분무공신(奮武功臣) 1등에 봉해졌으며 우찬성을 거쳐 우의정에 발탁되었다. 송공비는 안성 군민들이 재물을 모으고 돌을 다듬어 1744년(영조 20)에 건립한 것이다. 함께 종군(從軍)하였던 조현명(趙顯命)이 비문을 짓고 박문수(朴文秀)가 글씨를 썼다. 그리고 이광덕(李匡德)이 전액(篆額 ; 전서체로 비석의 이름을 새긴 부분)을 썼다. 비신(碑身 ; 글씨를 새기..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6호_안성 도기동 삼층석탑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6호 _ 안성 도기동 삼층석탑 (安城 道基洞 三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89.06.21 소재지 : 경기 안성시 도기동 184번지 시 대 : 고려시대 후기로 추정 옛 안성 읍내가 내려다보이는 도기동 입구 언덕 위에 세워진 화강암제 삼층석탑이다. 단층 기단과 3층의 탑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기동삼층석탑은 단층 기단과 기단 중석이 있고 그 위에 평면 방형의 3층 탑신을 올린 높이 5.4m의 일반형 석탑이다. 여러 개의 장대석(長臺石)으로 조립된 지대석 위에 양 우주(隅柱)만이 모각된 기단을 놓았다. 갑석(甲石)은 1매의 판석으로 조성되었는데, 하면에는 각형 1단의 부연(副椽)이 마련되어 있다. 탑신부(塔身部) 중 1층 탑신석만 여러 장의 석재를 사용하였을 뿐 나머지는 모두..

나전국화당초문자합, 나전매조죽문상자

_ 일본, 2020년, 고려, 국립중앙박물관 나전국화, 넝쿨무늬자합 나전으로 장식된 작은 보관 상자로 모자합(母子盒, 하나의 큰 합 속에 여러개 작은 합이 들어가는 형태)을 구성하는 자합(子盒) 중 하나이다. 고려 나전칠기는 고려시대의 미의식이 투영된 대표적인 공예품으로 완형은 국내에 남아있는 수량이 극히 적어 연구, 전시, 전통기술 등 활용 가치가 매우 높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일본 개인 소장자로부터 직접 구입하였다. _ 일본, 2021년, 조선, 18~19세기 나전매화, 새, 대나무무늬상자 흑칠 바탕에 나전으로 매화, 대나무, 꽃과 새 등의 무늬를 장식한 정방형의 상자로 뚜껑을 하단까지 덮어씌우는 고리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국내에 남아있는 수량이 많지 않으며 무늬의 표현과 자개의 제작 수준이 뚜어날..

열성어필(列聖御筆)

열성어필(列聖御筆) _ 미국, 2022년, 조선, 1722년(경종 2) 조선시대 왕들의 글씨 [어필(御筆)]를 모아 수록한 책이다. 어필은 왕의 상징물로 여겨져 국가 차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며 왕이 즉위하면 돌아가신 선왕(先王)의 어필을 간행하였다. 1722년 간행본이지만 1725년 열성어필이 새로 간행될 때 추가된 내용이 합쳐진 드문 사례이다. 미국 경매에 출품된 것을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구입하였다 열성어필(列聖御筆) 2022.07.17. 국립고궁박물관_나라 밖 문화재의 여정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