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14 9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73호_백자상감연리지문병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73호 _ 백자상감연리지문병 (白磁象嵌連理枝文甁) 수 량 : 1点 지정일 : 2009.01.02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조선전기 15세기경에 제작된 흑상감 백자병이다. 전기의 형식에서 주로 보이는 나팔형의 구연은 끝부분이 둥글게 말려 밖으로 벌어졌고, 목은 가늘고 잘록하며 어깨는 사선으로 뻗어내려 동제 하부에서 팽창하였다. 무게중심이 아래쪽에 있어 안정감이 있으며 어깨와 동체 아래쪽으로는 각각 4줄의 가로 선문대를 두르고 그 사이 넓은 면에 연리지(連理枝)문을 흑상감 하였다. 유약은 청자유약으로 엷게 시유하였는데 목과 굽 주위 일부에는 유약이 흘러내려 뭉친 부분이 있다. 전체적으로 광택이 고르고 용융상태가 좋다. 구연부 내면과 굽..

보물 제1776호_영가진각대사증도가

보물 제1776호 _ 영가진각대사증도가(2012) (永嘉眞覺大師證道歌(2012)) 수 량 : 불분권 1책(不分卷 1冊) 지정일 : 2012.08.24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0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1455~1494년(세조~성종 연간) 추정 『영가진각대사증도가(永嘉眞覺大師證道歌)』는 당조(唐朝)의 진각대사(眞覺大師, 647~713)가 선종(禪宗)의 제6조 혜능조사(慧能祖師, 638~713)를 만나 깨달은 진리를 칠언시(七言詩)로 지은 노래와 이것에 대한 여러 주석을 함께 수록한 것을 세조~성종 연간(1455~1494)에 을해자(乙亥字) 중자(中字)와 소자(小字)를 사용하여 간행(刊行)한 것으로 추정되는 판본(版本)이다. 『영가진각대사증도가』에 사용된 을해자(乙亥字)..

문화재/보물 2022.07.14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21호_류순정 영정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21호 _ 류순정 영정 (柳順汀 影幀) 수 량 : 1点 지정일 : 2007.03.22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류순정(柳順汀, 1459~1512)은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지옹(智翁)이고, 목사 양(壤)의 아들로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1487년 진사로 알성문과에 장원, 전적에 등용되었다. 1491년(성종22) 북정도원수 허종의 막하로서 야인 정벌에 종군하여 많은 전공(戰功)을 세우고 돌아왔다. 뒤에 평안도 평사로 전임, 연산군 초에 헌납, 부응교, 집의, 사성을 역임, 의주목사를 거쳐 평안도 병마절도사에 올랐다. 그 후 형조, 공조의 참판을 지내고 평안도 찰사, 이조 참판을 거쳐, 이조 판서에 승진하였다. 1506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77호_관서명승도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77호 _ 관서명승도첩 (關西名勝圖帖) 수 량 : 1帖 지정일 : 2003.12.3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19세기 이 작품은 황해도 북부와 평안도 일대 관서(關西)지방 명승지의 경관을 16장면으로 그려 만든 화첩이다. 각 장면은 다음과 같다. 제 1장면 비로봉(毘盧峯), 칠성봉(七星峯), 원만봉(圓滿峯), 동수령(東水嶺), 문필봉(文筆峯), 금강굴(金剛窟) 제 2장면 묘향산(妙香山) 제 3장면 원림진(院臨津), 심진정(尋眞亭) 제 4장면 석창(石倉), 어천역(魚川驛) 제 5장면 영변 약산(寧邊 藥山), 안주계(安州界) 제 6장면 부벽루(浮碧樓), 전금문(轉錦門), 연광정(練光亭), 대동문(大同門), 능라도(綾羅島) ..

보물 제1775호_진실주집

보물 제1775호 _ 진실주집(2012) (眞實珠集(2012)) 수 량 : 3권 1책 지정일 : 2012.08.24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0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1462년(세종 18) 판각, 1472년(성종 3) 후쇄 『진실주집(眞實珠集)』은 송나라 예묘행(倪妙行)이 여러 선사들의 가(歌)ㆍ명(銘)ㆍ심요(心要)ㆍ법어(法語)ㆍ시(詩)ㆍ문(文) 등에서 선(禪)과 관련된 글들을 선별하여 3권 1책으로 편찬한 책이다. 『진실주집(眞實珠集)』은 1462년(세조 8)에 목판으로 새긴 간경도감판(刊經都監版)을 10년 뒤인 1472년(성종 3) 6월에 후쇄(後刷)하고 김수온(金守溫)의 발문(跋文)은 갑인자소자(甲寅字小字)로 인출(印出)하여 간경도감판 원문(刊經都監版原文)에 덧..

문화재/보물 2022.07.14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74호_태학계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74호 _ 태학계첩 (太學契帖) 수 량 : 1첩 지정일 : 2003.12.3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1747년(영조23년) 성균관 대사성(成均館 大司成) 이정보(李鼎輔,1693년~1766년)가 태학속전(太學續典)이 완성된 것을 기념하여 9명의 참여 유생(儒生)들과 함께 만든 계첩(稧帖)이다. 능화문(菱花文) 장지로 된 표지에 묵서(墨書)로 ‘태학계첩(太學稧帖)’이라는 표제가 적혀 있고 제 1면에 참여자 명단인 좌목(座目), 제 2면에 성균관의 평면도인 반궁도(泮宮圖), 제 3면과 제 4면에 진사 신석규(辛錫奎)와 박익령(朴益齡)이 쓴 발문(跋文)이 각각 수록되어 있다. 신석규의 발문에 의해 이 화첩이 영조 23년(17..

자하(紫霞) 신위(申緯)의 <묵죽도>

_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 1860년, 종이에 수묵,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조선 시대 3대 묵죽화가로 손꼽히는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가 62세에 그린 것이다. 현존하는 신위의 묵죽 병풍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10폭 작품이며 유일하다.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는 신위의 작품 중 비교적 이른 시기의 묵죽도이며, 시구(詩句)를 본격적으로 적어 넣은 초기 작례이다. _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 _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 _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 _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 _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 _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 _ 자하(紫霞) 신..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56호_백자대병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56호 _ 백자대병 (白磁大甁) 수 량 : 1点 지정일 : 2002.08.16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器面 전체에 白釉가 시유되어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회색빛이 약간 감도는 모습의 이 大甁은 도톰하게 말린 채 밖으로 벌려진 구연부와 긴 목, 비교적 양감이 적은 胴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8세기 전반기의 전형적인 甁形이 면서도 전체 높이가 46.4㎝에 이르는 흔치 않은 크기에 길게 과장되어 표현된 목, 말려서 外反된 구연부 등에서 그 특징을 찾아 볼 수 있다. 모래 받침으로 구워진 이 白磁大甁 은 굽 내부의 유약 용융 상태가 다소 좋지 않고 口緣部에 일부 수리흔적이 있으나 이와 같은 형태를 한 大甁은 현존작이 거의 없는 귀한 예로..

보물 제1774호_자치통감강목 권12 · 27 · 37 · 42

보물 제1774호 _ 자치통감강목 권12, 27, 37, 42 (資治通鑑綱目 卷十二, 二十七, 三十七, 四十二) 수 량 : 4권 4책 지정일 : 2012.08.24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0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1493년(성종 24) 추정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남송의 주희가 사마광이 편찬한 『자치통감(資治通鑑)』294권을 저본으로 하여 편찬한 강목체 사서(史書)이다. 조선조에서 처음 간행된 『자치통감강목』은 1422년(세종 4)에 간행된 경자자본(庚子字本)이다. 그 후 최초의 연활자(鉛活字)인 병진자(庚子字)로 강(綱)을 인쇄하고 목(目)과 주석은 초주갑인자로 인쇄한 책이 발간되었으며 이는 1438년(세종 20)에 사정전훈의『자치통감강목』(思政殿訓義『資..

문화재/보물 2022.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