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 136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19호_조문명 초상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19호 _ 조문명 초상 (趙文命肖像) 수 량 : 1점 지정일 : 2017.12.07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대현동, 이화여자대학교) 시 대 : 조선 18세기 전반 조문명(趙文命, 1680-1732)의 본관은 풍양, 호는 학암(鶴巖)이다. 1728년 이인좌, 정희량 등이 주도하여 발생한 무신란의 진압에 공을 세워 분무공신(奮武功臣) 2등에 녹훈되어 풍릉군(豐陵君)에 책봉되고 병조판서가 되었다. 이후 대제학 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 좌의정에까지 이르렀다. 이 작품은 오사모에 단령을 입고 두 손을 소매 속에 모아 잡은 채 교의에 앉아 있는 전신좌상이다. 배경은 생략되었으며 바닥에는 아무것도 깔려있지 않다. 교의에는 표피가 덮여 있고, 두 발은 족좌 위에 놓았다..

홍성 홍주아문

홍성 홍주아문(洪城 洪州衙門) 홍주(洪州)의 지방관(목사牧使 : 조선 시대에 지방 행정 단위인 목을 다스리던 정삼품 외직 문관)이 근무하는 건물인 안회당(安懷堂)의 바깥문이다. 고종 7년(1870)에 한응필 목사가 홍주읍성을 크게 수리할 때 같이 세운 것이다. 홍주아문이란 현판은 흥선대원군이 직접 써 주었는데,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정면 5칸인 것이 특징이며, 가운데 출입문은 사방 경계를 위해 긴 받침돌 위에 나무 기둥을 세웠다. 조선 시대에 건립된 관청 출입문 중에 가장 크고 독특한 모습을 갖추고 있어, 조선 시대 관청 출입문의 구조와 형태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홍성 홍주아문 표지판 홍성 홍주아문 홍성 홍주아문 홍성 홍주아문 홍주아문(洪州衙門) 현판 홍주아문 좌측 내부 홍주아문 우측 내부..

보물 제2073호_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진본

보물 제2073호 _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진본 (陜川 海印寺 願堂庵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 腹藏典籍-大方廣佛華嚴經 晋本) 수 량 : 23첩 지정일 : 2020.08.27 소재지 :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길 122 (가야면, 사찰) 시 대 : 고려 13세기 중엽 판각, 조선 14세기 말∼15세기 초 인출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진본(陜川 海印寺 願堂庵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 腹藏典籍-大方廣佛華嚴經 晋本)'은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불좌상 복장전적 29권 29첩 가운데 ‘대방광불화엄경 진본’에 해당하는 23권 23첩이다. ‘대방광불화경 진본’은 13세기 중엽 조성된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국보)’ 가운데 포함된 해당 경판을 찍어 만..

카테고리 없음 2022.06.22

이건희컬렉션, 설초(雪焦) 이종우(李鍾禹)의 <부친 초상>

_ 설초(雪焦) 이종우(李鍾禹, 1899~1981, 황해도 봉산 출신), 1920년, 캔버스에 유채, 국립현대미술관 화가는 자신의 아버지를 위엄이 넘치는 모습으로 표현했다. 머리를 단정하게 빗어 넘기고 콧수염을 길렀으며, 양복과 넥타이를 갖추어 입은 모습에서 높은 사화적 지위와 재력을 짐작할 수 있고 날까로운 눈매와 굳게 다문 입에서 근엄하고 엄격한 성품이 느껴진다. 이종우는 부친의 반대를 무릅쓰고 화가가 되었고, 1925년 한국 화가 최초로 프랑스 유학길에 올랐다. _ 설초(雪焦) 이종우(李鍾禹, 1899~1981, 황해도 봉산 출신) 2022.04.28., 국립중앙박물관, 故 이건희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_어는 수집가의 초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이건희컬렉션, 소성(素城) 박득순(朴得錞)의 <봄의 여인>

_ 소성(素城) 박득순(朴得錞, 1910~1990, 함경남도 문천출신), 1948년, 캔버스에 유채, 국립현대미술관 화가가 자신의 아내를 그린 이 그림에서 전통적으로 중시된 종숙한 여인의 이미지가 떠오른다. 어두운 실내지만 얼굴과 상체 위로 밝은 빛이 부드럽게 들어오고 있어서 인물의 온화함이 강조되었다. 193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유화를 그린 박득순은 여인과 정물을 사실적이고 서정적인 분위기로 즐겨 그렸다. _ 소성(素城) 박득순(朴得錞, 1910~1990, 함경남도 문천출신) 2022.04.28., 국립중앙박물관, 故 이건희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_어는 수집가의 초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충청남도 기념물 제5호_성삼문선생 유허지, 성삼문선생 묘, 성삼문 선생 사당

충청남도 기념물 제5호 _ 성삼문선생 유허지 (成三問先生 遺墟址) 면 적 : 2,640㎡ 지정일 : 1973.12.24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매죽헌길 403-12 (홍북읍, 성삼문선생유허지) 시 대 : 조선시대 성삼문 선생의 외가가 있던 곳으로 그가 태어난 집터이다. 성삼문은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을 폐하고 왕위에 오르는 것에 반대한 사육신의 한 사람이다. 세종(재위 1418∼1450) 때 집현전의 학자로 훈민정음 창제에 크게 공헌하였으며, 단종 폐위에 대해서도 굳은 절개를 지켜 죽임을 당했다. 숙종 2년(1676)에 읍사 이량이 선생의 옛 집 근처에 사당을 세우고 사육신을 같이 모실 것을 청하자, 나라에서 녹운서원이라 하였고, 뒤에 노은이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그후 매년 12월에 제사를 지내오다가 ..

이건희컬렉션, 기산(箕山) 김준근(金俊根)의 <기산풍속도첩>

_ 기산(箕山) 김준근(金俊根, 19세기 말~20세기 초), 조선 19세기 말~20세기 초, 비단에 색, 국립중앙박물관 기녀와 도박을 하다 : 협창유도(挾娼裕賭) 놀이에 몰두한 인간 군상을 생생하게 표현한 그림이다. 남자들이 기생과 어울려 골패 노름을 하고 있다. 띠를 머리에 동여매고 색안경을 낀 모습이 흥미롭다. 이 그림은 김준근이 개항장에서 외국인에게 팔기 위해 그린 그림 중 하나로 19세기 말 조선의 풍속을 알 수 있어 가치가 높다 2022.04.28., 국립중앙박물관, 故 이건희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_어는 수집가의 초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기산(箕山) 김준근(金俊根)의 <죽호도(竹虎圖)>

_기산(箕山) 김준근(金俊根, 19세기 말~20세기 초), 대한제국, 비단에 수묵 대나무와 호랑이 김준근기산(箕山, 19세기 말~20세기 초) 은 19세기 후반 활약한 화가로, 부산 · 원산 · 인천 등의 개항장에서 조선인의 다양한 생활 모습을 담은 풍속화를 그려 서양인에게 판매하였다. 이 그림은 높게 자란 대나무와 그 아래에 꼬리를 쳐들고 산에서 나오는 모습의 호랑이를 수묵으로 표현하였다. '한국(韓國)'이 적힌것으로 보아 대한제국기(1897~1910)에 외국인 에게 판매할 목적으로 제작한 그림으로 추정된다. 搖尾求息(요미구식) 꼬리를 흔들어 먹이를 구하다 韓國 金俊根 한국 김준근 2022.06.03.부산박물관_2022 제1회 신수유물 소개전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