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 147

이광사(李匡師)의 <칠언 율시>

_ 이광사(李匡師, 1705~1777), 조선 18세기, 종이에 먹 이광사(李匡師, 1705~1777)가 빠른 붓놀림으로 쓴 글씨들이 살아 움직이는 듯힘찬 기운을 과시한다. 이광사는 조선적인 글씨를 이루기 위해 노력한 조선후기의 서예가이다. 윤순(尹淳, 1680~1741)의 문하에서 필법을 익혔고 왕희지(王義之)의 진체(晉體)를 바탕으로 동국진체(東國眞體)를 완성하였다. 이광사가 초서로 쓴 7언 율시는 중국 북송(北宋)의 사마광(司馬光, 1019~1086)이 쓴 시 「회소서(懷素書) 」의 한 대목에서 가져온 것이다. 사마광의 「회소서 」는 당나라 떄 초서를 잘 쓴 회소懷素 (8세기)의 글씨를 칭송하고 그의 글씨를 구해와 곁에 두고 감상하고 싶다는 마음을 적은 시이다. 이광사가 쓴 두 구절은 회소(懷素) ..

제1회 청허 사진전시회, 3부 세월의 흐름

제1회 청허 사진전시회, 3부 세월의 흐름 제1회 청허 사진전시회는 1부 도림천 걸으며, 2부 문화재를 찾아서, 3부 세월의 흐름으로 나누어 전시를 하고 있습니다. 3부 세월의 흐름는 10여년간 국내· 해외여행 및 일상생활을 주제있고 의미있는 사실적인 사진 10점을 선정하여 전시회를 하고 있습니다. 사진순서는 촬영날짜순입니다. _ 종로 , 2019.03.10 _ 잠비아 잠베지강, 2019.08.01 _ 남아공 케이프타운 볼저스 비치, 2019.08.05 _ 남아공 케이프타운 볼저스 비치, 2019.08.05 _ 신림동 삼모 앞 , 2019.10.25 _ 이집트 기자 피라미드 , 2019.12.28 _ 여수 하회도 , 2020.04.28 _ 전남 신안군 딴섬, 2021.02.14 _ 광명 하안주공11단지 ..

제1회 청허 사진전시회, 제2부 문화재를 찾아서

제1회 청허 사진전시회, 2부 문화재를 찾아서 제1회 청허 사진전시회는 1부 도림천 걸으며, 2부 문화재를 찾아서, 3부 세월의 흐름으로 나누어 전시를 하고 있습니다. 2부 문화재를 찾아서는 10여년간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주제있고 의미있는 사실적인 사진 10점을 선정하여 전시회를 하고 있습니다. 사진순서는 촬영날짜순입니다. _ 강릉 보현사 목우당, 2019.02.24 _ 김제 청룡사, 2019.06.06 _ 국립중앙박물관, 2020.08.13,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_ 함안 마애사, 2020.10.03 _ 칠곡 선봉사, 2020.12.13 _ 합천 청량사 , 2020.12.20 _ 국립중앙박물관 , 2021.02.21 , 보물 제1437호 백자 달항아리 _ 부안 내소사 , 2021.03...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법해도화(法海道化)> 현판

현판 _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 조선 19세기 이 현판은 김정희가 제주도 유배에서 풀려난 60대에 쓴 작품으로 보인다. 글자의 조형을 보면 '법法'의 '수氵'자를 극도로 작게하고 상대적으로 '거去'를 극도로 크게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조형적으로 극단적인 변화를 주면서도 작품의 전체적인 측면에서는 조화를 이끌어내는 김정희만의 공간경영능력을 잘 보여준다. 이 작품에서 김정희는 '삼연노우(三硏老迂)'라는 흔하지 않은 별호를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평생 정서 연구로 나이가 든 자신을 가리키는 말이다. 法海道化 三硏老迂 불법은 무한하고 부처님의 깨달음의 세계가 온 천지에 퍼짐 삼연노우 현판 _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 2022.06.03, 부산박물관 전시자료 ▼보시..

카테고리 없음 2022.07.01

대구 북지장사 지장보살도

대구 북지장사 지장보살도(大邱 北地藏寺 地藏菩薩圖) _ 조선 1765년 조성, 1994. 08.15. 도난 북지장사 지장보살도는 하단에 좌우로 화기가 있다. 화기에는 건륭(乾隆) 30년(1765)에 화승 두훈(枓訓)과 성총(性聰)이 이 그림을 그렸음이 적혀 있다. 하지만 사찰명이 적힌 부분을 도려내고 칠한 흔적이 있어 불화를 훔친 후 원 보안처인 사찰을 의도적으로 지우려 했음을 알 수 있다. 이 지장보살도는 지장보살과 도명존자 · 무독귀왕, 사보살(四菩薩)로 구성되어 있다. 스님의 모습을 한 지장보살의 광배 안에는 연화당초문이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지장보살의 지물인 석장(錫杖)은 도명존자가 들고 있는데, 이는 고려시대 지장보살도에 보이는 특징이다. 대구 북지장사 지장보살도(大邱 北地藏寺 地藏菩薩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