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 147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2호_흥선대원군 이하응필 묵란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2호 _ 흥선대원군 이하응필 묵란도 (興宣大院君 李昰應筆 墨蘭圖) 수 량 : 병풍 1틀(12幅) 지정일 : 2002.03.15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조선 고종 (1891년) 흥선대원군으로 보다 잘 알려진 석파(石坡) 이하응(1820∼1898)이 만 71세(1891년) 때에 유모(劉某)의 부탁을 받고 그린 12폭 석란도(石蘭圖)이다. 그림들은 2폭씩 대칭구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각 폭에는 다양한 괴석과 난초가 어울려 있다. 난초잎은 뿌리에서 촘촘히 자라나 위로 한껏 기세를 뿜으며 부드럽게 퍼지게 표현되었는데, 전형적인 그의 후기 난초의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바위의 경우 당시의 서화가인 정학교(丁學敎, 18..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37호_십장생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37호 _ 십장생도 (十長生圖) 수 량 : 병풍 한틀(10幅) 지정일 : 2001.12.31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조선 후기(19세기) 십장생을 주제로 그린 민화로 장생도(長生圖)라고 불리기도 한다. 십장생도는 정초에 왕이 중신들에게 새해 선물로 내리는 경우가 많았다. 주로 상류계층에서 새해를 맞아 문에 붙이는 세화(歲畵)와 오래 살기를 비는 축수용 그림으로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십장생도는 상상의 선계(仙界)를 형상화한 것으로서 산, 바위 등의 묘사에 화원풍의 청록산수법을 많이 사용하는 등 색채의 아름다움을 최대한 살리는 것이 특징이다. 이 그림은 대각선 구도를 취하여 오른쪽에는 육상의 장생물을, 왼쪽에는 수중의..

보물 제1281-2호__자치통감 권131~135, 246~250

보물 제1281-2호 _ 자치통감 권131~135, 246~250 (資治通鑑 卷一百三十一~一百三十五, 二百四十六~二百五十) 수 량 : 10권 2책 지정일 : 2012.08.24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0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1436년(세종18) 추정 사마광의 『자치통감』은 정치와 군사의 서술을 위주로 통치자에게 국가의 치란흥망(治亂興亡)의 차감(借鑑)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었던 만큼, 조선에서도 국가의 경영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서적이었다. 이 『자치통감』은 세종이 경복궁(景福宮)의 사정전(思政殿)에서 명신·학자(名臣·學者)들의 훈의(訓義)와 교감(校勘)을 거쳐 『자치통감』의 편찬을 완료하고 유의손(柳義孫)·윤회(尹淮)·권도(權蹈)·설순(偰循)·김말(金末) 등의 서..

문화재/보물 2022.07.10

보물 제1078-3호_석봉한호해서첩

보물 제1078-3호 _ 한호 필적 - 석봉한호해서첩 (韓濩 筆蹟 - 石峯韓濩楷書帖) 수 량 : 2첨 지정일 : 2010.01.04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55, 서울역사박물관 (신문로2가,서울역사박물관) 『한호 필적-석봉한호해서첩(韓濩 筆蹟-石峯韓濩楷書帖)』 상·하 2첩은 선조연간의 명필 석봉(石峯) 한호(韓濩, 1543-1605)가 절친했던 간이당(簡易堂) 최립(崔岦, 1539~1612)의 시문 21편을 단정한 해서로 필사한 것이다. 하첩 뒤쪽에는 이백(李白)의 오언시 한 수를 초서로 쓴 필적이 더 있다. 장황은 근대의 것으로 “석봉한호선행해서첩(石峯韓濩先生楷書帖)”이란 제첨(題僉)은 서화상(書畵商) 원충희(元忠喜)가 썼다. 한호의 해서 필적으로는 호성공신(扈聖功臣)과 선무공신(宣武功臣)의 ..

문화재/보물 2022.07.10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 181호_자치통감강목 권16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81호 _ 자치통감강목 권16 (資治通鑑綱目 卷十六) 수 량 : 1卷 1冊 지정일 : 2003.12.3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1420~1434(세종년간)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중국 송(宋)의 주희(朱熹)가 사마광(司馬光)의 편년체 역사서인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춘추(春秋)』의 필법에 따라 간략화 한 것으로 총 59卷 86冊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강(綱)’이란 주자(朱子)가 내린 대요(大要)로서 『춘추』의 경문(經文)에 해당하는 것이고 ‘목(目)’이란 주자의 문인(門人)인 조사연(趙師淵)의 주(註)인데 경문에 대한 전(傳)에 해당한다. 이 책은 조선시대 경연(經筵)에서 사서삼경(四書三經)이외의 사서(史書)..

보물 제641호_선종영가집

보물 제641호 _ 선종영가집(1999) (禪宗永嘉集(1999)) 수 량 : 2권 1책 지정일 : 1999.12.15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55, 서울역사박물관 (신문로2가,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조선 성종 3년(1472) 중국 당나라 현각선사(647∼713)가 선종의 요결(要訣:긴요한 뜻)과 수선(修繕)을 깨달은 내용을 찬술한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때 회암사의 혜근화상이 처음 입수하였고, 그의 제자 훤선이 이방직의 도움을 받아 고려 우왕 7년(1381) 봄 충주 청룡사에서 출판하였다. 조선 성종 3년(1472) 인수대비가 세조, 예종, 의경왕의 명복을 빌고, 정희대왕대비, 주상전하와 왕비전하의 만수무강 등을 기원하기 위해 여러 불경을 간행하였을 때, 이 책 200부를 인출하였다. 목..

문화재/보물 2022.07.10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40호_홍성 임득의장군 묘, 정충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40호 _ 홍성 임득의장군 묘 (洪城 林得義將軍 墓) 면 적 : 330㎡ 지정일 : 1995.10.07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 판교리 산95-1 조선 중기의 무신인 임득의 장군의 묘이다. 장군의 자는 자방(子房), 평택사람으로 부사 임식의 둘째 아들이며 임득인의 동생이다. 선조 29년(1596) 이몽학이 충청도 홍산에서 반란을 일으켜 인접한 임천·정산·청양·대흥 등을 함락하고 홍주성을 침범하자 홍주목사 홍가신을 도와 난을 평정하였다. 이 공로로 1604년 청난공신 3등에 기록되고 평성군으로 봉해졌다. 그뒤 충청수우후를 거쳐 광해군 1년(1609) 경상우도 병마절도사가 되었다. 묘소는 홍성군 서부면 판교리 청룡산에 있다. 묘소 앞에는 1917년에 세운 신도비(神道碑:왕이나..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01호_정충사, 임득의장군 묘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01호 _ 정충사 (靖忠祠) 수 량 : 1동 지정일 : 2009.10.20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판교1길 40-1 (서부면, 정충사) 정충사는 청난공신 임득의 장군의 영정과 신위를 봉안하기 위해 지어진 사당으로 1632년에 최초로 건립되었으며 건축물이 노후퇴락하여 1872년 재건하여 보존하고 있는 사당으로 주변에 임득의 장군 묘소(도지정문화재자료 제340호)와 신도비 등이 일곽을 이루고 있다. 정충사 (靖忠祠) 표지판 정충사로 가는 마을입구에 위치한 임득의장군 신도비 임득의장군 신도비 임득의장군 신도비 ▼임득의장군 사당인 정충사입니다. 정충사 전경 정충사 전경 정충사 재실인 숭모재(崇慕齋) 정충사 정충사 외삼문(外三門) 외삼문(外三門)에 걸려 있는 정충사 (靖忠祠) 편액 임득..

충청남도 기념물 제134호_결성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제134호 _ 결성향교 (結城鄕校) 면 적 : 2,644㎡ 지정일 : 1997.12.23 소재지 : 충남 홍성군 결성면 홍남서로707번길 21-8 (읍내리) 향교는 공자 등 성현들에게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결성향교의 언제 지었는지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고려 현종 1년(1010)에 세웠다고 전한다. 조선 인조 1년(1623)과 현종 15년(1674), 순조 8년(1808)에 수리하였고 1923년에 크게 보수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건물 배치는 외삼문 없이 바로 교육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그 뒤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있는 전학후묘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1호_전용일 가옥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1호 _ 전용일 가옥 (田溶一 家屋) 수량/면적 : 3동(388㎡) 지정일 : 1985.12.31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로 79 (갈산면) 시 대 : 조선 후기 안채, 사랑채, 헛간채를 가지고 있는 19세기 후반의 가옥으로, 전체적으로 트인 ㅁ자형 배치를 보인다. 안채는 ㄱ자형으로 가운데의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 부엌과 안방, 오른쪽에 건넌방이 배치된 전형적인 중부지방의 평면구성이다. 안채의 남쪽에 一자형으로 자리잡은 사랑채는 왼쪽에 대문과 문간방을 두고 오른쪽에 대청과 사랑방을 두어 행랑채를 겸하고 있다. 조선 후기 세련된 건축기술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주택이다 전용일 가옥 표지판 전용일 가옥 표지석 전용일 가옥 전경 이 주택은 19세기 중반에 세워진 양반집이다. 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