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 147

이건희컬렉션,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의 <무릉도원>

_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 1897~1972), 1922, 비단에 채색, 10폭 병품 병풍이 제1폭 뒷면에 적혀 있는 "청전무릉도원"이라는 표제는 이 작품이 동양의 이상향을 대표하는 도연명의 「도화원기 」를 그린 시의도임을 알려준다. 화면 상단에는 당나라 문인 왕유가 도연명의 시를 차운하여 지은 「도원행 」이 관재 이도영(1884~1934)의 글씨로 적혀 있다. 주제나 표현 기법 등에서 전통적인 요소가 강하지만, 화면 왼쪽에 대각선으로 펼쳐진 진인동 장면에만 일점투시도법을 적용하여 사실적인 공간감을 나타낸 것은 근대적 시점의 수용이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2021.08.03, 국립현대미술관_MMCA 이건희컬렉션 특별전:한국미술명작 '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이건희컬렉션, 최종태의 <손>

_ 최종태(1932 ~ , 대전 ), 1980년대, 철, 국립현대미술관 우리 곁에 존재하는 불안함을 주위 사람의 도움으로 이겨 낼 수 있다. 인간의 형태를 절제된 방식으로 표현하는 조각가 최종대의 은 가느다란 손가락을 쫙 펴고 있는 형상이다. 곧게 뻗은 손은 우리에게 함께하자고 청하는 듯하다 2022.04.28., 국립중앙박물관, 故 이건희 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_어느 수집가의 초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국가등록문화재 제709호_구 안성군청

국가등록문화재 제709호 _ 구 안성군청 (舊 安城郡廳) 수량/면적 : 건축물 1동(322㎡/지상 1층) 지정일 : 2018.03.09 소재지 : 경기도 안성시 낙원길 95 (영동, 안성1동주민센터) 시 대 : 1928년 근대기 상업도시로 번성하였던 안성 지역의 행정 중심시설로 평면구성 및 입면 처리 등에서 당시의 건축적 특징과 관공서 건물의 전형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구 안성군청 표지판 구 안성군청 구 안성군청은 1928년에 건립된 건물로 근대기에 상업도시로 번창한 안성 지역의 행정 중심시설로 현재도 관공서로 사용되고 있다. 구 안성군청은 당시 건축적 특징과 관공서 건물의 전형적인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특히,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관공서 건물 중 현재까지 남아 있는 사례가 많지 않아 희소성 ..

안성시 향토유적 제18호_안성공원 삼층석탑

안성시 향토유적 제18호 _ 안성공원 삼층석탑(安城公園 三層石搭) 수 량 : 1구 지정일 : 1986.05.22 소재지 : 경기도 안성시 낙원동 609-5, 낙원역사공원 내 시 대 : 고려시대 추정 이 탑은 갑석과 삼층의 탑신부만 남아 있으며, 안성 시내 주변에서 각 부재를 수습하여 이곳으로 옮겨온 것이다. 탑의 중적 부재는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보존이 양호하다. 원래는 기단석과 지대석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는 시멘트 지대위에 석탑을 건립해 놓았다. 1층 탑신석 남쪽 면에는 문비의 흔적이 있으며, 나머지 삼면에는 두광과 신광을 갖춘 좌상이 1구식 새겨져 있다. 1층 탑신석에만 우주가 모각되어 있고. 2 • 3층 탑신석에는 우주가 없다. 1 • 2층 옥개석의 형식은 같으나 3층 옥개..

안성시 향토유적 제9호_안성공원 석조광배

안성시 향토유적 제9호_안성공원 석조광배(安城公園 石造光背) 수 량 : 1구 지정일 : 1986.05.22 소재지 : 경기도 안성시 낙원동 609-5, 낙원역사공원 내 화강암 1석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원래 석남사 주변에 출토된 것을 수습하여 이곳에 옮겨 놓은 것이라고 한다. 두광과 신광을 갖춘 보주형(寶珠形)의 거신광배(巨身光背)로서, 주변에는 화염문(火炎文)이 돌려져 있고, 정상에는 큼직한 화불(化佛) 1구가 조각되어 있다. 두광(頭光)은 이조선(二組線)의 원형 내에 운문(雲紋)이 있으며 그 중심부에 원좌(圓座)가 있고 간지(間地)에 8판의 연화문이 있다. 신광(身光)에는 간지에 인동당초문(忍冬唐草文)이 조각되어 있다. 광배의 높이는 110cm, 중심 폭은 102cm의 규..

안성시 향토유적 제8호_안성공원 석불좌상

안성시 향토유적 제8호 _ 안성공원 석불좌상(安城公園 石佛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1986.05.22 소재지 : 경기도 안성시 낙원동 609-5, 낙원역사공원 내 안성 시내 주변에 있는 석불(石佛) 부재(部材)를 수습하여 현재의 위치에 놓은 것으로 부분적으로 파손된 흔적이 보이나 보존은 양호한 편이다. 화강석의 광배(光背)와 대좌(臺座)를 갖추었으나 원형인지는 알 수 없다. 광배는 1석으로 조성된 거신광(擧身光)으로 둘레 가장 자리에 화염문(火炎文)이 있고, 두광(頭光)과 원좌(圓座) 주변에 단엽연화문(單葉蓮花文) 12판이 조각되어 있으며, 그 밖으로 2중의 테두리로 두광을 갖추었다. 그 간지에 운문(雲文)이 있으며, 신광(身光)의 2조선(二組線) 간지에도 운문이 있고, 광배의 높이는 157cm..

보물 제2155호_안성 객사 정청

보물 제2155호 _ 안성 객사 정청 (安城 客舍 正廳) 수 량 : 정청 1동 지정일 : 2021.12.27 소재지 :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양복리 238-2 시 대 : 고려말~조선초기 안성 객사는 공민왕 12년(1363) 이전에 건립된 이후 조선후기에 지붕기와를 바꾸었고, 근대기인 1931년, 1995년 2차에 걸쳐 이건했음에도 항아리형 보와 포작의 구성법, 첨차의 형태 등이 고려말의 건축적 수법을 간직하고 있다. 따라서 고려시대 건립된 객사로 현존하는 객사 건축 중에서 가장 오래 되었다. 일반적인 지방의 객사들과 마찬가지로 1908년 안성 객사를 수리하여 교사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때 부속건물은 모두 사라지고 객사 본 건물만 남게 되었으며 1931년에는 군 도서관과 교사로 사용하다가 1995년 철거계..

문화재/보물 2022.07.25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9호_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9호 _ 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 (吳命恒先生討賊頌功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8.11.10 소재지 : 경기 안성시 낙원동 609번지 1728년(영조 4)에 이인좌(李麟佐)가 일으킨 반란을 토벌한 오명항(吳命恒, 1673~1728)의 공적을 칭송한 비이다. 오명항은 안성과 죽산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고 이인좌의 난을 진압하여 분무공신(奮武功臣) 1등에 봉해졌으며 우찬성을 거쳐 우의정에 발탁되었다. 송공비는 안성 군민들이 재물을 모으고 돌을 다듬어 1744년(영조 20)에 건립한 것이다. 함께 종군(從軍)하였던 조현명(趙顯命)이 비문을 짓고 박문수(朴文秀)가 글씨를 썼다. 그리고 이광덕(李匡德)이 전액(篆額 ; 전서체로 비석의 이름을 새긴 부분)을 썼다. 비신(碑身 ; 글씨를 새기..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6호_안성 도기동 삼층석탑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6호 _ 안성 도기동 삼층석탑 (安城 道基洞 三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89.06.21 소재지 : 경기 안성시 도기동 184번지 시 대 : 고려시대 후기로 추정 옛 안성 읍내가 내려다보이는 도기동 입구 언덕 위에 세워진 화강암제 삼층석탑이다. 단층 기단과 3층의 탑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기동삼층석탑은 단층 기단과 기단 중석이 있고 그 위에 평면 방형의 3층 탑신을 올린 높이 5.4m의 일반형 석탑이다. 여러 개의 장대석(長臺石)으로 조립된 지대석 위에 양 우주(隅柱)만이 모각된 기단을 놓았다. 갑석(甲石)은 1매의 판석으로 조성되었는데, 하면에는 각형 1단의 부연(副椽)이 마련되어 있다. 탑신부(塔身部) 중 1층 탑신석만 여러 장의 석재를 사용하였을 뿐 나머지는 모두..

나전국화당초문자합, 나전매조죽문상자

_ 일본, 2020년, 고려, 국립중앙박물관 나전국화, 넝쿨무늬자합 나전으로 장식된 작은 보관 상자로 모자합(母子盒, 하나의 큰 합 속에 여러개 작은 합이 들어가는 형태)을 구성하는 자합(子盒) 중 하나이다. 고려 나전칠기는 고려시대의 미의식이 투영된 대표적인 공예품으로 완형은 국내에 남아있는 수량이 극히 적어 연구, 전시, 전통기술 등 활용 가치가 매우 높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일본 개인 소장자로부터 직접 구입하였다. _ 일본, 2021년, 조선, 18~19세기 나전매화, 새, 대나무무늬상자 흑칠 바탕에 나전으로 매화, 대나무, 꽃과 새 등의 무늬를 장식한 정방형의 상자로 뚜껑을 하단까지 덮어씌우는 고리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국내에 남아있는 수량이 많지 않으며 무늬의 표현과 자개의 제작 수준이 뚜어날..